구역간 통행량 분석은 매장 내 고객이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흐름을 화살표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단순히 한 구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왔는지를 넘어, 고객들이 매장 내에서 어떤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지를 파악하여 동선 흐름의 효율성과 이탈 경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통행 화살표의 굵기와 색상의 진하기는 해당 경로의 트래픽 양을 직관적으로 의미합니다.
2. 주요 기능 및 활용
2.1. 구역간 통행 흐름 시각화
기능 설명
매장 지도 위에 정의된 구역(Zone) 간의 이동 방향과 통행량을 화살표로 표시합니다.
화살표가 굵고 색상이 진할수록 해당 경로의 통행량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활용 예시
특정 통로나 구역에 고객 동선이 집중되는지 확인하여 혼잡도 예측
비효율적 이탈 경로 진단 및 동선 개선 방안 모색
2.2. 출발/도착 구역 상세 분석
기능 설명
구역을 클릭하면, 해당 구역을 출발/도착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특정 경로의 상세 정보를 통해 통행량과 고객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상품 A 매대(출발)에서 연관 상품 B 매대(도착)로의 통행량이 의도대로 높은지 확인하여 연쇄 구매 유도 전략 성과 검증
입구 구역 대비 가장 중요한 전략 구역으로의 고객 유입률을 측정하여 해당 구역의 접근성 평가
특정 통로(화살표)를 이용한 고객 중 성별 및 연령대 분포를 확인하여, 해당 경로 주변의 진열 상품이나 광고 메시지의 타겟 적합성 평가
2.3. 고객 세그먼트별 통행 필터링
기능 설명
통행량 분석 대상을 성별, 연령대, 고객/직원 여부 등의 속성으로 필터링하여 특정 고객층의 이동 패턴만을 분리하여 분석합니다.
활용 예시
20대 여성 고객의 'SNS 인기 코너'에서 '셀프 계산대'로 이어지는 빠른 쇼핑 동선을 파악하여 해당 고객층을 위한 전용 서비스 기획
직원 이동량을 제외하여 순수 고객의 동선 흐름에만 집중함으로써, 운영 요소로 인한 데이터 오류 방지
3. 기대 효과
3.1. 진열 효율성 극대화
연관 상품 간의 진열 배치가 실제 고객의 동선(흐름)으로 이어지는지 검증
레이아웃 최적화의 핵심 근거 확보
3.2. 고객 이탈 및 병목 방지
고객이 매장 외부 또는 비활성 구역으로 이탈하는 경로(얇은 화살표)를 파악
병목 구간을 해소하여 쇼핑 경험 만족도 향상
3.3. 공간 활용 전략
특정 구역으로의 유입이 저조한 경우, 해당 구역의 접근성 개선 또는 용도 변경을 고려하는 전략적 근거로 활용
4. 핵심 지표 (KPI)
지표명
설정
활용 인사이트
총 구역간 통행량
설정 기간 동안 특정 출발 구역에서 도착 구역으로 이동한 방문객 수
경로의 절대적인 트래픽 규모 및 측정 기간의 통행 추이 파악
통행 점유율
전체 통행량 대비 해당 구역간 경로가 차지하는 비율
주요 경로의 핵심 동선 기여도 및 혼잡도 평가
타겟 통행 분포
특정 경로 이용 고객의 성별/연령대 비율
경로 주변 진열 상품의 타겟 적합성 검증
5. 고급 활용 팁
5.1. Before-After 동선 비교
매대 위치 변경, 통로 확장 등 레이아웃 변경 전후의 통행 흐름을 비교 분석
변경 효과를 화살표의 굵기와 색상 변화로 시각적으로 검증
5.2. 비정상 동선 감지 및 진단
매장 입구에서 바로 출구로 향하는 통행량을 파악
매장 내부에 고객이 불편을 느끼는 요인 (예: 긴 대기 줄, 불편한 진열)을 진단하고 개선
✔️ 정리하자면
구역간 통행량 분석은 고객이 매장 내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그 흐름과 경로를 화살표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핵심 시각화 기능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동선 비효율 개선, 연관 상품 전략 등 동선 기반 운영의 핵심 근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