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구역별 분석은 매장을 ‘Zone(구역)’ 단위로 나누어, 고객이 어떤 공간에서 얼마나 머무르고 어떤 관심을 보였는지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구역별 유입, 체류, 관심도, 인구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매장 레이아웃과 진열 전략을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기능 및 활용
🧱 구역 설정
기능 설명
- 매장 평면도 위에 자유롭게 구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각형, 원형 등)
- 상품 종류, 기능, 브랜드 등 다양한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신상품 존, 행사 존, 계산대 대기 존 등으로 나눠 공간별 성과 비교
- 특정 브랜드존의 고객 반응 분석 및 프로모션 효과 측정
👣 방문자 수 & 체류 시간 분석
기능 설명
- 각 구역에 들어온 방문자 수(유입량)와 평균 체류 시간을 자동으로 집계합니다.
- 체류 시간 필터(예: 3초 이상)를 활용하여 특정 시간 이상 머문 고객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방문자 수와 평균 체류 시간 비교를 통한 구역의 실질적인 매력도 판단
- 체류 시간이 낮은 구역의 진열 상태 개선 및 변화 측정
- 방문자 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력 배치 및 자원 투입의 적절성 평가
🧑🤝🧑 구역별 인구통계 분석
기능 설명
- 각 구역에 방문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를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 고객 속성(성별, 연령)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고객 속성(성별, 연령)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고객군별 체류 시간 분석을 통한 우선 개선 또는 마케팅 집중 대상 선정
- 타겟 고객 맞춤형 광고 및 매장 내 사이니지 운영 전략 수립
3. 기대 효과
🗺️ 공간 최적화
- 고객 동선과 체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매장 레이아웃 설계 가능
- 핫존은 유지/강화, 콜드존은 개선하는 전략 수립
🎯 타겟 마케팅
- 고객층별 선호 구역 확인을 통한 정확한 타겟 프로모션 실행
- 구역별 광고와 진열 콘텐츠 차별화
🧰 운영 개선
- 혼잡한 시간대와 구역 파악을 통한 인력·재고 배치 최적화
- 병목/이탈 구역 개선으로 쇼핑 편의성 향상
4. 핵심 지표 요약 (KPI)
구역별 방문객 수 |
해당 구역에 들어온 고객 수 |
구역의 인기(집객력) 확인 |
평균 체류 시간 |
고객이 이 구역에서 머문 평균 시간 |
관심도 및 공간 매력도 평가 |
방문 밀도 |
고객이 몰려있는 정도 |
핫/콜드존 한눈에 파악 (히트맵 시각화) |
구역별 인구 통계 |
성별 및 연령대 분포 |
고객군별 선호 공간 분석 |
구역 방문율 |
전체 고객 중 이 구역을 방문한 비율 |
접근성 및 구역 도달률 진단 |
바운스율 |
구역에 들어온 후 바로 이탈한 비율 |
구역 첫인상 및 상품 적합도 진단 |
5. 고급 활용 팁
🔎 핵심 구역 집중 분석
- 매출 기여도가 높은 구역의 고객 특성, 체류 행동 정밀 분석
- 연관 상품 진열, 조명, 콘텐츠 강화를 통한 추가 성과 창출
❄️ 비인기 구역 개선
- 콜드존의 원인(위치, 구성, 진열 등)을 파악 후 개선안 적용 및 데이터 검증
- VMD, 진열 상품, 프로모션 변경 후 유입 및 체류 시간 변화 측정
📅 시즌/이벤트 비교
- 시즌별 고객 반응 차이를 비교하여 시기별 전략 수립
- 명절, 행사 등 이벤트 전후 비교를 통한 공간 및 상품 배치 최적화
✍️ 정리하자면
구역별 분석은 매장을 ‘고객이 실제로 반응한 공간 단위’로 나누어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단순히 공간을 나누는 것을 넘어, 고객의 행동(체류/관심)을 기준으로
각 공간의 효율을 데이터로 파악하고 효율적인 개선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습니다.